서브배경
서브이미지

진료시간안내

  • 평일 09:00 ~ 18:30
  • 토요일 09:00 ~ 13:00
  • 공휴일 휴진
  • 일요일 휴진
  • 점심시간 13:00 ~ 14:00

051-702-7017


건강칼럼

홈으로_ 공지사항_ 건강칼럼

제목

현미가 백미보다 위험하다?...1급 발암물질 함량 24% 높아

image

미 연구팀, 현미, 백미보다 총 비소 함량 약 24% 높아

5세 미만 어린이, 성인보다 비소 노출 위험성 더 커

"현미 섭취 위험성 경고는 아냐"... 조리 방식 신중할 필요

 현미가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현미는 백미보다 영양분이 더 풍부해 건강에 이롭다고 평가된다. 하지만, 최근 미국 미시간 주립대학교 연구팀이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현미가 백미보다 높은 수준의 비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현미 섭취가 비소 노출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연구팀은 어린이의 경우 성인보다 비소 노출의 영향이 더 크다는 점을 강조했다.

비소는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 암연구소(iarc)가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한 중금속으로, 일부 농업 토양이나 지하수에 존재할 수 있다.

연구는 미국 국민건강영양조사(nhanes) 자료를 바탕으로 다양한 인종과 연령대의 미국 내 인구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팀은 현미와 백미 각각의 평균 비소 함량을 분석한 후, 연령대별 섭취량과 체중 등을 고려한 인체 내 노출량을 산출했다.

연구 결과 현미는 백미보다 총 비소 함량이 약 24%, 무기 비소가 약 40% 더 높았다. 무기 비소는 비소 형태 중에서도 특히 독성이 강한 물질로, 장기간 섭취 시 피부병, 폐 기능 저하, 심혈관계 질환, 심지어는 암을 유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서 주목할 점은 '정제가 덜 된 현미일수록 비소 함량이 더 높다'는 사실이다. 현미의 비소 농도가 흰쌀 대비 최대 10배 더 높았기 때문이다. 이는 현미가 쌀겨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인데, 비소는 대부분 외피 부분에 집중되어 축적되기 때문이다. 반면 백미는 정제 과정을 거치며 외피가 제거되기 때문에 비소 농도가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구진은 체중 당 음식 섭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5세 미만 어린이에겐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현미를 규칙적으로 섭취한 생후 6~24개월 영·유아는 백미를 섭취한 동 나이 대 영·유아에 비해 비소 노출 추정치가 2배 정도 높았다.

그러나 연구진은 "현미를 섭취하지 말라는 경고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현미가 가진 식이섬유, 미네랄 등의 영양 성분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주 저자인 크리스티안 켈리 스콧 박사는 "현미는 식이섬유와 미네랄, 항산화 성분 등 유익한 성분이 많지만, 동시에 비소 농도도 더 높다"라며 "특히 5세 미만의 어린이나 임산부의 경우, 비소 노출의 위험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쌀 선택과 조리 방식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현미와 백미의 비소 함량 및 노출량 비교, arsenic content and exposure in brown rice compared to white rice in the united states)는 국제 학술지 '위험 분석(risk analysis)'에 게재되었다.



     
이전사진보기
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
다음사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