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시간안내
- 평일 09:00 ~ 18:30
- 토요일 09:00 ~ 13:00
- 공휴일 휴진
- 일요일 휴진
- 점심시간 13:00 ~ 14:00
051-702-7017
홈으로_ 공지사항_ 건강칼럼
어깨 통증,?젊어도?안심?못해...?"참다가?더?굳는다"?[인터뷰]
어깨 통증은 단순한 근육 피로부터 힘줄 파열까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한다. 흔히 중장년층의 문제로 여겨지지만, 나이와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나타날 수 있다. 특히 반복적인 사용이나 퇴행성 변화로 인한 회전근개 손상,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석회성 힘줄염, 그리고 흔히 '오십견'이라 부르는 유착성 활막염 등은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만성 통증과 기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정형외과 전문의 배재호 원장(더바른성모정형외과)은 "어깨 관절은 작은 자극에도 손상이 쉽게 쌓이는 구조라 방치하면 관절이 굳거나 힘줄이 파열될 수 있다"며 "특히 오십견은 단순한 노화 현상이 아니라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이므로,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q. 어깨 통증을 일으키는 원인이 굉장히 다양하던데, 대표적으로 어떤 것들이 있나요?
보통 어깨는 몸통과 팔을 이어주는 관절을 말합니다. 어깨 관절은 상완골과 견갑골, 쇄골, 그리고 이 뼈들을 둘러싼 인대와 근육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어깨 통증이 있는 분들은 대체로 어깨 관절을 이루는 회전근개라는 힘줄에 문제가 생겨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목에서 어깨까지 이어지는 근육이나, 흔히 '목 디스크'라 부르는 추간판 문제 때문에 동반 통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 밖에 병원을 찾는 증상 중에는 외상, 즉 다치거나, 넘어지거나, 부딪혀 어깨 통증이 발생한 경우도 있습니다. 단순 타박상인 경우도 있고, 경우에 따라 쇄골이나 상완골 부위가 골절된 경우도 있어요. 뼈에 이상은 없지만 견쇄관절 부위의 인대가 파열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골절의 경우 전위가 되어 심하게 어긋났을 때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외상과 무관하게 별다른 원인 없이 갑자기 극심한 통증이 생겨 내원하는 환자들 중에서는 '석회성 힘줄염'이 원인인 경우가 많은데 통증이 너무 심해서 야간에 응급실을 찾기도 합니다.
q. 그렇다면 석회성 힘줄염 외에 통증 문제로 내원하는 흔한 질환은 무엇인가요?
오십견이라고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정확한 진단명은 유착성 활막염입니다. 오십견은 어깨 관절에 유착이 생기면서 혼자 움직이려고 할 때 극심한 통증이 발생합니다. 환자분들이 능동적으로 움직일 때 운동 범위가 제한되고, 검사자가 수동으로 움직여 줄 때도 제한이 나타납니다. 유착이 심한 경우에는 관절강 내에 스테로이드 주사를 투여해 염증 반응을 줄이고, 이후 물리치료를 진행합니다. 흔히 알려진 도수치료도 관절 범위를 늘리기 위해 많이 사용됩니다.
q. 회전근개 파열도 많이 들어봤는데, 어떤 질환인가요?
어깨 관절 안쪽에는 회전근개라는 네 개의 힘줄, 즉 견갑하건, 극상건, 극하건, 소원근이 있습니다. 이 힘줄들은 견봉 아래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되면서 충돌할 경우 염증을 유발하고, 퇴행성 변화가 진행되면 파열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힘줄이 완전히 파열되지 않더라도 염증과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를 '어깨 충돌 증후군'이라고 부릅니다.
q. 어깨 충돌 증후군도 수술이 필요한가요?
어깨 충돌 증후군은 대부분 비수술적 치료로 진행됩니다. 통증을 유발하는 특정 동작이나 자세를 제한하고, 염증이 심할 경우 견봉 아래에 소염제 주사나 히알루론산 주사를 투여합니다. 동시에 물리치료를 병행하며 보존적 치료를 우선 시행합니다.
하지만 보존적 치료에도 통증이 계속되거나, 견봉 밑 뼈의 골극이 힘줄을 자극할 경우에는 관절내시경으로 골극을 다듬는 '견봉 절제 성형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q. 어깨 힘줄이 파열된 경우, 치료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회전근개 힘줄이 파열된 경우, 파열된 정도에 따라 비수술적 치료를 우선 시행해 볼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곧바로 시행하기도 합니다. 체외충격파 치료로 혈류를 개선하고 재생을 돕는 동시에, 도수치료와 재활 물리치료를 진행합니다.
또 재생 주사 치료도 시행하는데, 대표적으로 pdrn(dna) 주사, 프롤로 주사, 콜라겐 주사가 있습니다.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먼저 스테로이드 주사로 염증을 줄이고, 이후 재생 주사 치료를 이어갑니다.
프롤로 주사는 고농도 포도당으로 좋은 염증 반응을 유도해 성장인자와 재생인자가 모이도록 함으로써 힘줄 증식을 돕습니다. pdrn 주사는 연어 정소 추출 성분으로 염증을 줄이고 섬유아세포 증식을 유도해 힘줄 재생을 돕습니다. 콜라겐 주사는 힘줄 성분을 보충해 결손 부위 재생을 돕죠. 이렇게 염증 치료와 재생 치료를 함께 진행하게 됩니다.
q. 어깨 힘줄 치료 후 더 아프다는 분들도 있는데 어떤 이유인가요?
어깨 힘줄 봉합 수술을 받은 뒤, 환자가 더 아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수술 자체는 잘 되었지만, 이후 관절이 굳으면서 통증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힘줄이 뼈에 안정적으로 붙으려면 최소 6주 정도 보조기를 착용해야 하는데, 고정 기간이 길어지면 관절이 굳어 통증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술 후에도 충분한 재활 치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q. 어깨가 아플 때나 치료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
누구나 퇴행성 관절 변화를 겪습니다. 어깨 관절은 가동 범위가 넓고 근육으로 보호가 부족해 반복적 손상이나 외상에 취약합니다. 따라서 평상시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스트레칭과, 무리가 가지 않는 근력 운동이 필요합니다.
또 환자마다 진단이 다르기 때문에, 병원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고 상태에 따라 수술적 혹은 비수술적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 어깨 통증으로 병원을 찾는 분들에게 해주실 조언이 있을까요?
어깨 통증으로 병원을 찾는 경우, 목과 어깨가 동시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아, 목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어깨 관절은 유연성을 확보하고 근력을 강화하는 관리가 필요하며, 이는 연세가 많은 분들뿐 아니라 10대, 20대부터 꾸준히 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회전근개 파열은 통증이 심하지 않아도 기능상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검사 결과에 따라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는 점도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기획 = 권선우 건강전문아나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