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시간안내
- 평일 09:00 ~ 18:30
- 토요일 09:00 ~ 13:00
- 공휴일 휴진
- 일요일 휴진
- 점심시간 13:00 ~ 14:00
051-702-7017
홈으로_ 공지사항_ 건강칼럼
갑작스러운 어지럼증 호소한 김혜경 여사... 이석증, 어떤 질환이길래?
김혜경 여사가 갑작스럽게 이석증 진단을 받았다. 이석증은 머리나 자세를 움직일 때 반복적인 어지럼증이 발생하는 말초성 어지럼증이다. 갑자기 특정 자세에서 주변이 빙글빙글 도는 듯한 강한 어지럼증을 느끼다가 저절로 좋아지는 증상이 반복된다면 '이석증'을 의심해 볼 수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이석증 환자는 2010년 약 23만 명에서 2023년 약 48만 명으로 13년간 2배 이상 증가했다. 흔한 질환임에도 청력에 영향을 준다는 것과 같은 잘못된 정보가 많다. 이에 이석증의 원인과 증상, 치료법과 재발 방지를 위한 관리법까지 종합적으로 살펴본다.
귓속 이석 이탈로 발생…위험 요인은?
이석증은 귀 안쪽에 평형을 담당하는 전정기관 내 위치해야 할 이석이 떨어져 나와 반고리관으로 들어가면서 평형 신경을 자극해 발생한다. 이에 따라 뇌가 잘못된 정보를 받아들이면서 회전성 어지럼증을 느끼게 된다.
이석증의 주요 원인은 머리 외상, 바이러스 감염 등이다. 노화, 수면 중 체위 변화, 피로나 스트레스, 탈수 상태도 전정기관을 약화시켜 이석이 쉽게 이탈하도록 만든다. 이석은 탄산칼슘으로 구성돼 있어 뼈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때문에 골다공증 환자는 이석이 더 쉽게 떨어진다. 또한, 폐경기 이후 50세 이상 중장년 여성, 고혈압, 당뇨 등의 만성질환자, 과거 이석증 병력이 있는 사람의 발병률이 높다.
이비인후과 전문의 정승곤 원장(수성슬기로운이비인후과의원)은 지난 하이닥과의 인터뷰를 통해 "과로나 과격한 운동 이후 이석증이 발생하는 분들도 많다"며 "스트레스나 피로 자체가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은 아니지만, 몸의 컨디션이 전정기관 기능에 영향을 주면서 이석증을 유발할 수는 있다."고 설명했다.
짧고 반복적인 어지럼증이 특징… 청력 손상은 없어
이석증의 주요 증상은 고개를 돌릴 때 3~4초 동안 머리가 빙빙 도는 듯한 어지럼증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어지럼증이 발생하는 동안 균형을 잡기 어려워 일어서지 못하거나 쓰러질 수 있으며, 속이 메스꺼운 느낌이 동반되거나 심한 경우 구토를 유발할 수도 있다.
이석은 평형을 담당하는 구조물이다. 따라서 이석증은 어지럼증을 유발하지만, 청력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만약 어지러움과 함께 귀가 먹먹하거나 이명, 소리가 잘 안 들리는 증상이 동반된다면 다른 질환일 가능성 있다. 대표적으로 메니에르병, 돌발성 난청, 청신경종양 등이 있으며, 이 경우에는 청력 검사나 영상 촬영을 통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한두 번 시술로 치료 가능… 이석 치환술이란?
이석증은 일반적으로 아무런 치료를 하지 않아도 수주 이내에 호전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증상이 지속되면 환자의 불편이 크기 때문에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좋다.
치료 방법으로는 '이석 치환술'이 있다. 누운 자세에서 머리 방향을 바꿔가며 반고리관에 들어간 이석을 원래 위치인 전정기관으로 유도하는 시술이다. 보통 한두 번만으로도 쉽게 치료되는 경우가 많다. 치료 후에도 수일간 머리 움직임 제한, 과격한 운동 자제 등의 생활 관리가 필요하다.
정 원장은 "이석증은 약물로 치료되는 병이 아니다. 어지럼증이 심한 초기에는 항히스타민제나 진정제, 구토 억제제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는 일시적인 증상 완화를 위한 대증요법일 뿐이다"며 "근본적인 치료는 이석을 제자리로 되돌리는 '이석 치환술'"이라고 설명했다.
이석증 재발 막으려면?...수면 자세 중요
이석증은 완치가 가능한 질환이지만, 재발률이 높다. 통계에 따르면 치료 후 1년 이내 재발률은 약 15~20%, 5년 이내 재발률은 30~50% 정도로 보고된다.
이석증이 있는 환자라면 수면 자세가 증상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머리가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지속되면 이석이 다시 움직일 수 있다. 이석증이 발생했던 귀가 천장을 향해 자는 것이 중요하고, 기상 시 머리를 갑자기 돌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베개 높이를 경추에 맞게 조절하는 것도 이석증 재발 방지에 도움이 된다.
이석은 칼슘 대사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비타민 d는 칼슘 흡수를 돕는 중요한 영양소로, 부족할 경우 이석의 강도가 약해져 재발 위험이 커진다. 따라서 칼슘제와 비타민 d를 함께 보충하는 것이 좋다.
정 원장은 "갑작스러운 회전성 어지럼증은 누구에게나 당황스럽고 무서울 수 있다"며 "그러나 이석증은 정확한 진단과 치료만 이뤄진다면, 수일 내에 호전되는 질환이므로, 증상이 나타났을 때 빠르게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