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배경
서브이미지

진료시간안내

  • 평일 09:00 ~ 18:30
  • 토요일 09:00 ~ 13:00
  • 공휴일 휴진
  • 일요일 휴진
  • 점심시간 13:00 ~ 14:00

051-702-7017


건강칼럼

홈으로_ 공지사항_ 건강칼럼

제목

출퇴근 시간 길면, 외로움 더 느낀다... "혼자 살면 더 취약"

image

서울대 의대·강북삼성병원 공동 연구팀, 서울 직장인 24,278명 분석

출퇴근 '60분 초과' 시… 가족 관계 외로움 49%·사회적 외로움 36% 증가

자가용 이용자, 1인 가구에서 장거리 출퇴근과 외로움의 연관성 뚜렷

자가용으로 하루 1시간 이상 소요되는 장거리 출퇴근이 정신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 외로움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강북삼성병원 공동 연구팀은 서울시 직장인을 대상으로 통근 시간과 외로움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이번 연구는 현대인의 일상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출퇴근이 단순한 시간 소모를 넘어 사회적 관계 단절과 고립감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팀은 2023년 서울시가 실시한 '서울 서베이' 자료를 바탕으로 직장인 24,278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통근 시간은 ▲30분 이하 ▲31분~60분 ▲60분 초과 세 그룹으로 분류했으며, 외로움은 가족 관계와 비(非)가족 관계(친구, 동료 등)에서의 고립감을 측정하는 질문으로 평가했다. 분석에는 연령, 성별, 소득 등 사회인구학적 요인과 직업, 통근 수단, 1인 가구 여부 등의 변수가 함께 고려되었다.

연구 결과, 하루 출퇴근 시간이 60분을 초과하는 그룹은 30분 이하인 그룹에 비해 가족 관계에서 외로움을 느낄 위험이 1.49배, 비가족 관계에서 외로움을 느낄 위험은 1.3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관성은 사회경제적 요인들을 보정한 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이는 긴 통근 시간이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보낼 수 있는 시간을 물리적으로 감소시켜 사회적 고립을 초래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통근 수단에 따라 외로움 위험도에 차이가 있었다. 자가용으로 60분 이상 출퇴근하는 경우에만 외로움 위험이 뚜렷하게 증가했으며, 대중교통이나 도보·자전거 이용자에게서는 유의미한 연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1인 가구는 장거리 출퇴근 시 외로움을 느낄 위험이 더욱 증폭되는 취약성을 보였다. 이는 장시간의 개인 운전이 사회적 교류 기회를 차단하고, 혼자 사는 환경이 이러한 고립감을 심화시키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연구의 제1저자인 강북삼성병원 산업환경의학부 최백용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긴 통근 시간이 가족 및 사회와 교류할 시간을 물리적으로 빼앗아 개인을 고립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특히 자가용으로 장시간 출퇴근하거나 혼자 사는 사람들은 외로움에 더욱 취약한 만큼, 이들의 사회적 고립을 예방하기 위한 도시 계획 및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association between commute time and loneliness: an analysis based on 2023 seoul survey data, 통근 시간과 외로움의 연관성: 2023 서울 서베이 데이터 기반 분석)는 25년 8월 국제학술지 '교통과 건강 저널(journal of transport & health)'에 게재됐다.



     
이전사진보기
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
다음사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