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배경
서브이미지

진료시간안내

  • 평일 09:00 ~ 18:30
  • 토요일 09:00 ~ 13:00
  • 공휴일 휴진
  • 일요일 휴진
  • 점심시간 13:00 ~ 14:00

051-702-7017


건강칼럼

홈으로_ 공지사항_ 건강칼럼

제목

"2025국가건강검진, 이제 6개월 미뤄도 괜찮다"... 확 달라진 검진 정책은?

image

매년 시행하는 국가건강검진 제도는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넘어 심각한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는 '치료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바쁜 일상을 핑계로 계속 미루다 연말이 다가와서야 밀린 숙제하듯 병원을 방문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다 보니 검진 항목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또 개인에게 더 필요한 검진 항목은 무엇인지 잘 알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2025년에는 이런 사람들을 위해 국가건강검진 수검에 6개월의 유예기간이 주어졌다. 또 검진 항목도 확대되고 검진 주기도 세분화되는 방식으로 개편됐다. 어떤 검진 항목들이 개편됐는지, 또 개편 항목들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내과 전문의 이기영 원장(송도탑내과의원) 도움말로 자세히 알아본다.

2025국가건강검진 주요 개편 항목 한눈에 보기

1. c형간염 항체 검사 추가
2025년 국가건강검진에서는 c형간염 항체 검사가 1969년생, 즉 56세를 대상으로 새롭게 실시된다. 항체 검사 상 양성으로 확인되면 'hcv rna '검사를 통해 c형간염 감염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이기영 원장은 "c형 간염은 예방 백신은 없지만, 완치 가능한 치료제가 있기 때문에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항체 양성 확인 시 질병관리청(www.kdca.go.kr) 또는 정부24 웹사이트(www.plus.gov.kr) 를 통해 rna 검사 온라인 신청하면 되고, 검사 비용은 국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2. 청년 정신건강 검진 확대
중·장년층만을 대상으로 했던 정신건강 검진 대상자가 2025년부터는 청년층으로까지 확대됐다. 대상 청년은 20세~34세까지며, 주기도 기존 10년마다 1회에서 2년마다 1회로 단축됐다.

이 원장은 "기존의 우울증 선별 검사에 더불어 조기 정신증(조현병 스펙트럼, 양극성 장애 등)의 검사가 추가됐다"며, "중증 정신질환이 주로 청년기에 처음 발생하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조기에 발견하여 개입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3. 골다공증 검사 연령 추가
기존의 골다공증 검사는 여성 중 54세, 66세를 대상으로 진행됐었는데, 2025년부터는 60세 여성도 검사 대상에 추가됐다. 이제 여성은 54세, 60세, 66세 총 3회의 골다공증 검사가 가능해진 것이다.

이 원장은 "폐경 후 골밀도 저하가 빠른 중년기 여성의 골절 위험을 미리 파악하고 예방 조치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4. 이상지질혈증 관리 기준 강화
이상지질혈증은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수치 등의 이상을 보이는 만성질환으로 기존에 비해 관리 기준이 강화됐다. 특히 고혈압, 당뇨병 환자의 경우 ldl 콜레스테롤의 정상 기준치가 100mg/dl 미만으로 조정되면서 더 엄격한 관리를 요구하게 됐다.

이 원장은 "만성질환 고위험군의 혈관 질환 예방, 생활습관 개선, 약물 치료 개입 등의 개입 시점을 앞당길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5. 검진 유예기간 부여
국가건강검진은 짝수, 홀수 연도에 따라 검진 대상을 정해 해당 연도 안에 검진받아야 했다. 그러나 2025년부터는 6개월의 검진 유예기간이 주어진다. 이에 따라 여러 사정으로 해당 연도에 검진을 받지 못하더라도 다음 해 상반기(6월 말)까지는 검진이 가능하다.

다만, 유예 기간에 검진을 받을 경우 정기 검진 연도와 중복돼 한 해에 두 번의 건강검진을 받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한 해에 두 번 검진을 받는다고 해서 건강에 문제가 되지는 않겠지만 불필요한 반복 검사가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주치의와 상담하여 검진 시기를 정하는 것이 좋다. 이 원장은 "기저질환 및 건강 상태를 고려해 주치의의 권고대로 검진받는 것이 좋다. 특히 암 검진 등 주기가 긴 검사는 검진 시점 관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유예 검진은 권장되는 사항은 아니고, 정기 연도에 검진받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변화하는 생활 습관과 의료 시스템 발전에 따라 검진 항목도 시대 수준을 반영해 개편되고 있다. 따라서 국가건강검진도 차일피일 미루기보다는 현재 개인의 건강 상태를 정확히 확인하고 질병 치료의 시작으로 이해하고 제때 수검하는 것이 좋다. 이 원장도 이번 국가건강검진 개편 내용에 대해 "단순히 검사 몇 가지 추가된 수준이 아니라 인구 집단의 특성과 시대적 건강 문제 변화를 반영한 전환점이라는 것에 의미가 크다. 앞으로 국민 건강 수명 연장과 의료비 절감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이전사진보기
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
다음사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