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배경
서브이미지

진료시간안내

  • 평일 09:00 ~ 18:30
  • 토요일 09:00 ~ 13:00
  • 공휴일 휴진
  • 일요일 휴진
  • 점심시간 13:00 ~ 14:00

051-702-7017


건강칼럼

홈으로_ 공지사항_ 건강칼럼

제목

가슴 통증, 그냥 넘겨도 될까?...'이럴 땐' 유방암 의심해야

image

가슴이 찌릿하거나 묵직하게 아프면 많은 여성들이 유방암을 떠올린다. 그러나 유방통은 여성의 약 70%가 일생에 한 번 이상 겪는 흔한 증상으로, 대개는 호르몬 변화나 생리 주기와 관련된 정상적인 반응인 경우가 많다. 실제로 유방암은 초기에는 통증 없이 진행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단순한 유방통과 질환에 의한 통증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방통의 발생 원인과 유형, 유방암과의 감별 포인트, 그리고 병원 진료가 필요한 상황까지 자세히 짚어본다.

유방통 대부분은 자연스러운 통증...'비주기성'일 땐 확인 필요
유방통은 유방이나 겨드랑이, 흉벽 부위에 나타나는 통증이나 불편감을 의미한다. 통증의 양상은 찌릿함, 묵직함, 쿡쿡 쑤심, 눌렀을 때의 압통 등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원인과 통증의 패턴에 따라 주기성 유방통과 비주기성 유방통으로 구분된다.

주기성 유방통은 생리 주기와 연관되어 발생하는 유형으로, 전체 유방통의 약 70%를 차지한다. 주로 20~30대 가임기 여성에게 흔하게 발생하는데, 유방이 작고 밀도가 높은 경우 통증이 더 심하게 느껴질 수 있다.

외과 전문의 김민수 원장(뷰성형외과의원)은 "주기성 유방통은 배란기 전후와 생리 전부터 시작하여 생리 직전 최고조에 달했다가 생리가 시작되면서 서서히 줄어드는 특징을 보인다"라면서 "난소에서 나오는 여성호르몬이 유방의 실질을 이루고 있는 유선에 자극을 주어 발생하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반면, 비주기성 유방통은 생리 주기와 무관하게 발생하는 통증으로,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한다. 대표적으로 유방 안에 생긴 낭종이나 섬유선종 같은 양성 종양, 외부 충격이나 브래지어 압박 등 물리적 자극, 유선염이나 감염성 질환 등이 있으며, 드물게는 유방암이 통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흉벽 통증, 늑연골염, 신경통 같은 유방 외부 문제에서 비롯돼 통증이 유방으로 전달되는 경우도 있다.

김 원장(뷰성형외과의원)은 "비주기성 유방통은 주기성 유방통에 비해 통증 부위가 일정하고 지속성이 있는 것이 특징"이라며 "통증이 오래 지속되거나 이전과 다른 양상이 반복된다면, 이상 소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진이 필요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단순 유방통과 감별해야 할 유방암의 신호들
유방에서 통증이 느껴지면 유방암의 초기 증상으로 오해하기 쉽지만, 실제로 유방암은 대부분 통증 없이 진행된다. 또한 증상이 나타나더라도 처음에는 통증보다 외형적 변화나 촉진 시 감지되는 이상 소견이 먼저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유방암의 경고 신호로는 △만져지는 덩어리(종괴), △유두 함몰이나 비정상적인 분비물, △피부의 부종이나 오렌지 껍질처럼 두꺼워지는 변화 △유방의 비대칭 등이 있다. 이러한 변화가 한쪽 유방에만 국한되거나,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뚜렷해지는 양상을 보일 경우 유방암을 의심해볼 수 있다.

외과 전문의 이주현 원장(강남아름다운유외과의원)은 "유방암을 의심해야 하는 경우는 통증 자체보다도 시각적·촉각적 변화가 있을 때"라며, "특히 멍울이 만져지거나 유두에서 분비물이 나오고, 피부가 꺼지거나 붓는 증상이 함께 나타난다면 반드시 검진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폐경 이후 갑작스럽게 유방에 변화가 생기거나, 덩어리의 크기가 점점 커지는 경우, 기존과 다르게 뻣뻣하고 불규칙한 양상의 이상이 느껴지는 경우 등도 병적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진료와 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확인해야 한다.

유방 초음파·촬영술 등 고려…"평소 유방 변화에 주의 기울여야"
유방 이상이 의심돼 병원을 방문하면 먼저 촉진 검사를 통해 유방 조직의 변화나 종괴 유무 등을 확인한다. 이후 환자의 나이, 유방 밀도, 가족력 등을 고려해 적절한 검사가 시행된다.

40세 미만 여성은 유방 초음파 검사가 주로 시행되는데, 이를 통해 낭종, 고형 종괴, 섬유선종 등 양성 질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40세 이상이거나 유방암 가족력이 있는 여성은 유방촬영술(맘모그램)이 권장된다. 이는 미세 석회화, 종괴의 위치, 유방 전체의 밀도 등을 파악할 수 있어 유방암 조기 발견에 효과적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유방 mri, 호르몬 검사, 세침흡입검사(fna) 또는 중심침생검(core needle biopsy) 등 정밀검사가 추가로 시행된다. 영상 검사에서 의심 병변이 발견될 경우, 조직의 양성·악성 여부를 확인해 정확한 진단이 이루어진다.

이주현 원장은 "40세 이상 여성은 1~2년에 한 번 유방촬영을 권장하고, 그 외 연령대라도 유방에 평소와 다른 변화가 느껴진다면 즉시 전문 진료를 받아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정기적인 자가 검진도 유방 건강 관리의 중요한 수단이며, 통증이 없더라도 멍울이나 시각적 변화가 느껴진다면 지나치지 말아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호르몬 변화에 따른 생리적 반응으로 나타나는 주기성 유방통은 일상 속 습관의 변화만으로도 증상이 완화될 수 있다. 먼저, 카페인 섭취를 줄이는 것이 도움이 된다. 커피, 녹차, 초콜릿 등에 함유된 카페인은 유방 조직의 민감도를 높여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생리 전후에는 섭취량을 줄이는 것이 좋다.

식습관도 중요한 요소다. 포화지방이 많은 음식보다는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한 견과류, 생선, 올리브유 등을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신선한 채소와 과일 위주의 식단은 호르몬 균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지지력이 있는 브래지어를 착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유방을 안정적으로 잡아주는 속옷은 외부 자극이나 움직임으로 인한 통증을 줄일 수 있다. 이 밖에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고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가벼운 운동 등을 통해 긴장을 해소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전사진보기
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
다음사진보기